초고령사회 뉴노멀 라이프스타일 연구소

연구논문

  • 한글판 라이프밸런스 척도(Korean Version of Life Balance Inventory; K-LBI)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2022.09.06
  • 관리자
    • 학술지 구분
    KCI 등재
    • 저자명
    박상미, 박지혁
    • 학술지, 권/호/쪽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7(1), 15-26
    • DOI
    https://doi.org/10.14519/kjot.2019.27.1.02
    • Abstract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균형 평가를 위한 한글판 라이프밸런스 척도(Korean version of Life Balance Inventory; K-LBI)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라이프밸런스 척도(Life Balance Inventory; LBI)의 한국어 번역, 역 번역, 원저자 검토의 과정의 거쳐 번역본을 완성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13명의 작업치료사에게 LBI의 한국어 번역본에 포함된 53개 항목의 적합도에 대한 응답을 5점 리커트 척도로 수집하여 Item-level Content Validity Index(I-CVI)를 산출하였다. 수렴타당도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 Quality of Life-Brief; WHOQOL-BREF), 한글판 Short Form-12 Health Survey Questionnaire version 2(SF-12v2)와의 상관계 수를 통해 검증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일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 165명의 대상자에게 조사한 설문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K-LBI에 포함된 53개 항목의 I-CVI의 평균은 0.79로 나타났다. 수렴타당도 분석에서 K-LBI의 총괄 점수와 한국판 WHOQOL-BREF와 한글판 SF-12v2의 정신적 건강 지수(Mental Component Score; MCS)와의 상관계수는 각각 .356(p=.01), .490(p=.01)로 확인되었다. 신뢰도 검증 결과, 노인과 성인 집단에서 도출된 Cronbach’s α값은 각각 .875, .831였다.
    결론 : K-LBI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작업균형 평가도구로 확인되었으며, 활동 참여에 대한 만족도 저하, 혹은 참여하고 있는 활동 영역 간에 불균형으로 인해 작업적 불균형을 경험하는 대상자들에게 적 용하여 평가함으로써 일상생활 양식의 개선을 통한 건강증진 목적의 평가도구로 활용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