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허약노인의 정의를 정리하고, 허약노인 선별 시 사용되는 도구들을 분석함으로써 허약의 구성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 고령자에게 허약 선별 평가가 실시된 문헌을 검색하기 위해 CINAHL, Embase, Medline Complete, PubMed를 사용했다. 검색어는 “assess” AND "frailty" AND "screening" AND ("frail elderly" OR "elderly")를 사용했다. | 결과 : 검색 결과로 얻은 538편의 문헌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11편의 연구가 최종적으로 선정됐다. 본 고찰을 통해 허약은 다차원적 요인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허약노인은 ‘건강 악화 ‧ 기능 손상 ‧ 장애 발생의 가능성이 높고, 생명에 대한 위협 수준이 높은 사람’으로 정의됐다. 11편의 문헌 중 허약 선별 평가도구는 총 7종류로 Phenotype of frailty 이 5편(45.4%)으로 가장 많이 사용됐다. 7개의 선별 평가도구에서 제시된 허약의 구성 요소는 신체적 요소, 활동 참여, 영양, 정신적 요소, 사회적 요소, 전반적 건강 상태와 나이로 나타났다. 신체적요소의 세부 요소에는 신체적 기능이 포함되며, 활동 참여의 세부 요소에는 일상생활활동(ADL), 수단적 일상생활활동(IADL)이 포함된다. 영양상태의 세부요소에는 체중 감소와 체질량 지수(BMI)점수가 포함된다. 정신적 요소의 세부 요소에는 인지, 정서가 포함된다. 사회적 요소의 세부 요소에는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환경이 포함된다. | 결론 : 허약노인의 선별 및 관리는 건강한 고령화 영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향 후 허약노인 선별을 위한 표준화된 선별 평가도구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